본문 바로가기

프로그래밍언어/Basic7

4.1 제어문 - 조건문 if문 기본 구조 if 조건: 실행코드1 else: 실행코드2 조건문을 테스트해서 참이면 if문 바로 다음 문장(if 블록)들을 수행하고, 조건문이 거짓이면 else문 다음 문장(else 블록)들을 수행하게 된다. 그러므로 else문은 if문없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. 들여쓰기 if문을 만들 때는 if 조건문: 바로 아래 문장부터 if문에 속하는 모든 문장에 들여쓰기(indentation)를 해주어야 한다. 아래에서 보는 것과 같이 조건문이 참일 경우 위의 기본 구조처럼 실행된다. if 조건문: 실행코드1 실행코드2 실행코드3 하지만 다음과 같이 작성하면 오류가 발생한다. 실행코드2를 들여쓰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. if 조건문: 실행코드1 실행코드2 실행코드3 또 주의할점은 조건문 다음에 콜론(:).. 2023. 3. 20.
3.3 자료형 - 불린 이름 분류 타입 가변 예 정수 1. 숫자 Integer N 100, 100_000 부동소수점 folat N 3.14 복소수 complex N 3j, 4+4j 텍스트문자열 2. 문자 string N 'apple', 'black' 불린 3. 논리 bool N True, False 자료형의 True, Falsem 자료형 값 True, False 문자형 'python' True ' ' False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 [1, 2, 3] True [ ], ( ), { } False 숫자형 1 True 0 False None False >>> bool('python') True >>> bool('') False >>> bool([1,2,3]) True >>> bool([]) False >>> bool(0) Fal.. 2023. 3. 8.
3.2 자료형 - 문자 이름 분류 타입 가변 예 정수 1. 숫자 Integer N 100, 100_000 부동소수점 folat N 3.14 복소수 complex N 3j, 4+4j 텍스트문자열 2. 문자 string N 'apple', 'black' 불린 3. 논리 bool N True, False 문자 자료형 Check List 문자열 생성 방법 4가지 문자열에서 " "(큰 따옴표), ' '(작은 따옴표) 출력 방법 2가지 이스케이프 코드 이해 줄바꿈(\n) 없이 여러 줄로 구분된 문자열 출력 문자열 덧셈, 곱셈, 길이 구하기 문자열 인덱싱(indexing), 슬라이싱(slicing) f-string 문자열 함수를 이해하고 있는가? 문자열 인덱싱(indexing), 슬라이싱(slicing) indexing : 인덱싱 str .. 2023. 3. 6.
3.1 자료형 - 숫자 이름 분류 타입 가변 예 정수 1. 숫자 Integer N 100, 100_000 부동소수점 folat N 3.14 복소수 complex N 3j, 4+4j 텍스트문자열 2. 문자 string N 'apple', 'black' 불린 3. 논리 bool N True, False Integer # tip # # 파이썬을 자리수를 표시할 때, 콤마 대신 _ (언더바)를 쓴다. print(type(1.11)) print(type(1_11)) print(1_11) print(10,100,110) 산술연산자 연산자 기능 문법 설명 + 덧셈 a+b 두 값을 더함 - 뺄셈 a-b a에서 b를 뺌 * 곱셈 a*b 두 값을 곱함 / 나눗셈 a/b a에서 b를 나누며(결과는 실수) // 정수 몫 a//b a에서 b를 나누며.. 2023. 3. 6.
3. 자료형 이름 유형 타입 가변 예 불린 기본 자료형 Boolean N True, False 정수 Integer N 100, 100_000 부동소수점 Float N 3.14 복소수 Complex N 3j, 4+4j 문자열 String N 'apple', 'black' 리스트 복합 자료형 List Y ['python', 'abcde'] 튜플 Tuple N (2,4,6,8) 딕셔너리 Dictionary Y {'fruit':'apple','banana'} 바이트 Bytes N b'ab\xff' 바이트배열 Bytearray Y bytearray(...) 셋 Set Y set([2,3,4]) 프로즌 셋 Frozenset N frozenset(['Else','Olaf']) 2023. 3. 2.
2. 변수 1. 변수(variable)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며, 이러한 데이터는 컴퓨터의 메모리 공간에 저장될 수 있습니다. 이때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 공간에 이름을 할당받아야만 나중에 다시 해당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 이처럼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해 놓는 일종의 저장 공간을 변수(variable)라고 부릅니다. 즉, 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이름을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을 의미하며, 이렇게 저장된 데이터는 언제든지 다시 접근하거나 그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. 변수의 사용 내이름은 승완 을 출력하기 위해서 print()함수와 name변수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출력가능합니다. print('내이름은 승완') name = '내이름은 승완' print(na.. 2023. 3. 2.